2025년 7월~12월 세금계산서 마감일 완벽 정리!

청구스
2025. 7. 10.

“단 하루 늦었을 뿐인데…!”
실제 우리 고객사 담당 경리님 이야기입니다. 평소 꼼꼼하게 업무를 챙기는 분인데, 거래처가 몰리는 달이라 깜빡하고 세금계산서 발행일을 하루 넘겼다고 하시더라고요.
결과는요? 딱 1% 가산세, 50만 원이 그냥 날아갔습니다.
"그 돈이면 팀원들이랑 회식하고도 남았을 텐데..."
라고 아쉬워하시던 그 목소리가 아직도 기억에 남네요.
📅 2025년 하반기 세금계산서 마감일 한눈에 보기
아래 표를 꼭 저장해두세요!
공급월 | 마감일 | 요일 | 유의사항 |
---|---|---|---|
7월 | 8월 11일 | 월요일 | 8/10(일)이 일요일이라 8/11(월)로 연기 |
8월 | 9월 10일 | 수요일 | |
9월 | 10월 10일 | 금요일 | |
10월 | 11월 10일 | 월요일 | |
11월 | 12월 10일 | 수요일 | |
12월 | 2026년 1월 12일 | 월요일 | 1/10(토)이 토요일이라 1/12(월)로 연기 |
꼭 기억하세요!
공급월 다음 달 10일이 원칙!
단, 주말·공휴일이면 다음 영업일로 미뤄집니다.
💡 실제 실무 TIP: 이런 사례 많습니다!
❓ “언제 공급된 걸로 계산하나요?”
한 고객사에서는 10월 31일에 납품했는데, 정산이 11월에 이뤄졌다고 하시더라고요.
이때 세금계산서 발행은 무조건 10월 31일 기준입니다.
만약 11월 11일(월) 이후에 발행하면?
바로 1% 가산세 폭탄이죠!
📝 경리 담당자가 매달 꼭 체크해야 할 4가지
공급일을 명확하게 확인하기
분할 공급이면 각각 발행일 따로 확인하기
마감일이 주말·공휴일인지 체크해서 놓치지 않기
마감일 전에 꼭 발행 완료!
⚠️ 가산세, 얼마나 나올까요?
예를 들어, 8월 공급분(9월 10일 마감)을 9월 12일(금) 발행했다고 가정해볼게요.
공급가액이 5,000만 원이라면,
가산세 = 5,000만 원 × 1% = 50만 원
이 돈이면 팀 회식 한 번, 아니면 직원들 기프티콘 10장 이상은 돌릴 수 있습니다.
🧠 혹시 이거 알고 계신가요?
“어? 오늘도 입금이 안 들어왔네…”
이 한마디로 하루가 뒤집히는 대표님, 저만 그런 건 아니겠죠?
직원 없이 혼자서, 혹은 소규모 인원으로 회사를 이끌다 보면
‘일’보다 더 스트레스 받는 게 바로 ‘돈’ 문제인 것 같습니다.
특히 거래처가 많아질수록
“언제 누구한테 청구했지?”
“이거 입금 확인 제대로 됐나?”
“혹시 미수금 남은 건 없을까?”
이런 생각에 머리가 복잡해지더라고요.
저는 원래 엑셀에 하나하나 정리해서
매일 아침마다 은행 앱 켜고 입금 내역 확인했는데,
언젠가부터 그 시간 자체가 너무 아깝게 느껴졌어요.
정작 중요한 일은 뒷전이고,
수금/입금 확인/미수 관리에 하루를 다 쏟아붓는 날이 많더라고요.

실제로 주위 대표님들도
“이거 자동으로 정리해주는 시스템 없을까?”
“나도 좀 편하게 일하고 싶다…”
이런 이야기를 정말 자주 합니다.
재미있는 건, 얼마 전에 한 모임에서
입금·청구·세금계산서 업무를 자동화해주는 툴이 있다고 하더라고요.
딱히 광고처럼 느껴지는 얘기는 아니었는데,
“진짜 한 번 써볼 만하다”는 평이 많았어요.
궁금해서 검색해보니,
이런 자동화 시스템을 도입한 후
미수 걱정, 실수, 야근, 번아웃이 크게 줄었다는
후기가 생각보다 많더라고요.
결국 중요한 건
“내가 더 중요한 일, 더 의미 있는 일에 시간을 쓸 수 있느냐”
이 문제인 것 같습니다.
입금 확인, 미수 관리, 반복되는 행정 업무.
이제는 ‘내가 다 해야 한다’는 부담에서
조금은 벗어나도 되지 않을까요?
혹시 요즘 들어 “이런 거, 나만 힘든가?” 싶은 대표님이 계시다면
자동화가 답이 될 수도 있습니다.
시간과 신경을 아끼고,
오늘 하루는 진짜 내 일에 집중해보는 건 어떨까요?
💬 실무 Q&A
Q1. 마감일이 공휴일/주말이면 언제까지 발행해야 하나요?
A. 마감일이 토요일, 일요일, 공휴일이면 다음 영업일로 연기됩니다. 예를 들어, 7월 공급분은 8월 10일(일)이 일요일이므로 8월 12일(화)이 마감일입니다.
Q2. 실수로 마감일 넘기고 세금계산서 발행하면 어떻게 되나요?
A. 공급가액의 1% 가산세가 부과됩니다. 한 번 발생하면 환급이나 감면이 안 되니 꼭 주의하세요!
Q3. 한 달에 여러 번 납품(분할공급)했을 땐 세금계산서를 어떻게 발행하나요?
A. 각 납품(공급)일별로 각각 세금계산서를 발행해야 합니다. 한 번에 몰아서 발행하면 가산세 발생 위험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