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금계산서 미발행 가산세 총 정리 – 이 글 하나로 끝!

청구스
2025. 7. 23.

“세금계산서 발급, 깜빡하면 큰일 나요!”
실제로 저희 고객 중 한 분은 매출이 몰리던 연말에 한 건의 세금계산서를 발급하지 못한 일이 있었어요. 그냥 ‘하나쯤 괜찮겠지’ 하고 지나쳤다가, 다음해 2%의 미발급 가산세와 매입처 클레임까지 겪으셨죠.
이 글에서는 세금계산서를 제때 발급하지 않았을 때 부과되는 가산세와 실무상 주의할 점을 표와 함께 정리해드립니다.
✅ 세금계산서는 언제까지 발급해야 하나요?
구분 | 발급 기한 |
---|---|
공급 시기 | 재화 또는 용역을 공급한 시점 |
법정 발급기한 | 공급월의 다음달 10일까지 반드시 발급 |
⚠️ 세금계산서 지연/미발급 시 부과되는 가산세
실무에서 가장 많이 헷갈리는 부분이 바로 “어느 시점까지 발급해야 가산세가 안 붙는지”인데요. 아래 표로 한번에 정리해볼게요.
구분 | 가산세율 | 대상자 | 부가 설명 |
---|---|---|---|
⏰ 지연발급 | 공급가액의 1% | 공급자 | 다음달 10일 이후~확정신고기한 이전 발급 |
❌ 미발급 | 공급가액의 2% | 공급자 | 확정신고기한(1/25, 7/25)까지도 미발급 시 |
🕓 지연수취 | 공급가액의 0.5% | 공급받는 자 | 확정신고기한까지 미수취 시 |
🚫 매입세액 불공제 | 없음 (세액 공제 불가) | 공급받는 자 | 세금계산서 없으면 부가세 공제 안됨 |
💡 확정신고기한이 기준!
1기 : 7월 25일
2기 : 1월 25일
이 기한까지 세금계산서를 발급하거나 수취해야 불이익이 없습니다.
📍 실무 예시 – 이런 경우 꼭 주의하세요!
🧾 예시 1: 전자세금계산서 발행 누락
경기도 안산에 있는 제조업체 A사는 5월에 납품한 거래에 대해 6월 10일에 맞춰 전자세금계산서를 발행하려 했지만, 실무자가 실수로 6월 12일에 발행했습니다.
→ 공급자 가산세 1% 부과!
📦 예시 2: 세금계산서 아예 누락
부산의 도소매업체 C사는 바쁜 연말에 12월 거래 중 하나를 아예 놓쳤습니다. 1월에도 발급하지 않았고, 1월 25일 확정신고일이 지나서 확인했습니다.
→ 공급자: 2% 미발급 가산세
💬 세금계산서 가산세 피하려면?
📅 매일 또는 매주 주기적으로 거래내역 정리
✅ 전자세금계산서 시스템 자동 연동 활용
📲 청구스와 같은 청구관리 솔루션 이용
🚀 실수 없는 청구관리, 한 번에 끝내고 싶다면?

매달 반복되는 세금계산서 발행과 확인, 혹시라도 “이번 달엔 놓친 게 없을까?” 하는 불안… 이제는 내려놓으셔도 됩니다.
청구스는 거래내역부터 세금계산서 발행, 자동 입금 확인, 미수 관리, 자동 알림까지 한 번에 해결해드려요.
더 이상 엑셀, 수기로 뒤늦게 체크하며 초조해하지 마세요.
오늘부터는 세금계산서 실수, 미수금 걱정 없이
진짜 중요한 일에만 집중하는 하루,
청구스와 함께 시작해보세요.
“이런 게 진짜 ‘마음의 평화’ 아닐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