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급 받은 세금계산서 조회 방법 - 이 글 하나로 끝!

청구스
2025. 8. 21.
안녕하세요,
단 1원도 놓치지 않는 청구 미수 관리 솔루션 청구스 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많은 실무자분들이 매달 반복해서 하시는 업무 중 하나,
바로 “발급받은 전자세금계산서 조회” 방법을 홈택스 기준으로 정리해드릴게요.
특히 헷갈리기 쉬운 작성일자, 발급일자, 전송일자 차이부터,
조회 조건 설정 팁, 실무에서 자주 나오는 이슈 사례까지—
실제로 저희 고객사에서 겪었던 에피소드도 곁들여 쉽게 설명드릴게요.
1️⃣ 홈택스 로그인부터 시작

전자세금계산서를 조회하려면, 우선 국세청 홈택스에 접속해 주세요.
사이트 주소는 👉 www.hometax.go.kr
🔑 로그인 시 주의할 점
개인 사업자 → 개인용 공동인증서
법인 사업자 → 반드시 법인용 공동인증서

로그인 후 상단 메뉴에서
[조회/발급] → [전자세금계산서] → [세금계산서 조회] 메뉴를 클릭하세요.
2️⃣ 조회 조건, 제대로 설정하는 게 핵심입니다

전자세금계산서를 조회할 때는 조회 조건 설정이 매우 중요해요.
특히 날짜 조건을 잘못 선택하면 "왜 안 나오지?" 하며 당황하실 수 있습니다.
📅 날짜 3종 구분
기준 | 의미 | 언제 써야 하나요? |
---|---|---|
작성일자 | 세금계산서상 '공급일자' 기준 | 실거래 일자 기준으로 조회할 때 |
발급일자 | 홈택스에서 발행 처리한 날짜 | 보통 매출 세금계산서 확인할 때 |
전송일자 | 국세청에 전송된 날짜 | 부가세 신고 시 확인 필요 |
→ 실무에서는 작성일자 기준으로 조회합니다.
▶ 작성일자에 대해 더 궁금하다면? (가산세 기준이 됩니다!)
💡 팁:
법인 사업자의 경우, 조회 가능 기간이 최대 3개월로 제한되므로
분기별로 자주 조회해주는 게 좋아요!

🔍 받은 세금계산서니까 구분에서 매입을 선택해줍니다
3️⃣ 조회 하기

조건을 설정하고 조회하면 표 형식으로 결과가 나옵니다.
여기서 중요한 포인트는 아래 세 가지예요.

🔍 표에서 원하는 세금계산서를 더블클릭하면 자세히 볼 수 있어요!

🙋♀️ 실무자가 자주 묻는 질문 (Q&A)
질문 | 답변 |
---|---|
1. 내가 발행한 세금계산서도 같은 화면에서 조회되나요? | 네, 매출/매입 모두 동일한 메뉴에서 조회할 수 있습니다. 발행 후 바로 확인 가능해요. |
2. 조회해도 세금계산서가 안 보이면 어떻게 해야 하나요? | ERP 등 외부시스템에서 발행된 경우, 홈택스 전송이 누락됐을 수 있습니다. 거래처에 ‘국세청 전송 여부’를 꼭 확인하세요. |
3. 6개월 이상 지난 세금계산서는 어떻게 확인하죠? | '월별/분기별' 방식으로 메뉴에서 다시 조회하시면 됩니다. 기간 필터에서 ‘직접 입력’보다는 ‘전체 기간 보기’ 메뉴 활용하세요. |
근데 청구부터 세금계산서 발행, 입금 확인, 미수 시 연락 직접 하고 계신가요? 🧾

👀 근데, 이 모든 걸 아직도 ‘직접’ 하고 계신가요?
청구부터 세금계산서 발행, 입금 확인, 미수 연락까지—
하루가 멀다 하고 반복되는 일들.
실수 한 번이면 거래처 신뢰도 흔들리고,
입금 지연되면 자금 운영도 꼬입니다.
💡 이제는 자동으로 돌아가게 하세요.
세금계산서 발행 → 국세청 전송 확인 → 입금 여부 체크 → 미수 자동 알림까지
청구스 하나면 단 1원의 미수도 놓치지 않습니다.
☑️ 반복 행정에서 해방
☑️ 실수·누락 걱정 없이
☑️ 진짜 ‘일 잘하는’ 대표가 되는 법